티스토리 뷰
개인통관고유부호는 중요한 개인정보와 주민등록번호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보호 번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 관세청에서 어떤 물건이 들어왔을 때 확인해야 하는데, 이것을 개인통관고유부호라는 번호 하나로 쉽게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인정보까지 보호해주는 것입니다. 해외직구나 해외에서 물건을 자주 수입하시는 분들은 개인통관고유부호가 꼭 필요한데요. 아래에서 조금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.
개인통관고유부호 발급 방법
개인통관 고유부호는 관세청에서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, 발급도 관세청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. 워낙 많은 분들이 발급이나 번호가 기억나지 않아서 자주 찾는 사이트이기 때문에, 꼭 관세청으로 들어가지 않고 '개인통관고유부호'라고 검색하시면 관세청 개인통관고유부호라는 사이트를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.
요즘에는 공식 홈페이지를 사칭하는 경우가 워낙 많기 때문에, 그냥 번거로우시더라도 관세청 홈페이지를 통해 발급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. 관세청 홈페이지에 접속해보시면 "개인통관고유부호발급"이라는 메뉴를 위의 이미지처럼 메인화면에서 쉽게 찾으실 수 있습니다.
사이트는 복잡하지 않고 굉장히 간단하게 구성되어 있는데요. 오직 개인통관고유부호만을 위한 사이트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. 여기서 조회와 발급 모두 가능한데요. 아직 번호가 없어서 신규로 발급받으셔야 하는 분들은 오른쪽에 있는 "신규 발급"을 눌러서 발급을 진행해주시면 됩니다. 휴대폰이나 공동인증서, 간편인증을 통해서 본인인증을 거친 후 주소와 전화번호 등의 간단한 개인정보만 입력하면 바로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
개인통관고유부호 조회
조회도 위에서 보신 사이트에서 같이 하시면 되는데요. 이번엔 오른쪽이 아니라 왼쪽에 있는 조회를 눌러보겠습니다.
마찬가지로 간단한 본인인증을 거치게 되고, 본인인증만 완료되면 기존에 발급받았던 개인통관고유부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저도 오랜만에 조회를 해봤습니다. 개인통관고유부호는 P로 시작하고 뒤에 12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 P까지 합하여 총 13자리를 이루고 있는데요. P뒤의 2자리는 발급년도를 말하고, 9자리는 부여번호, 마지막 한 자리는 오류검증부호라고 합니다. 저는 해외직구를 종종 이용하는 편이라서, 개인통관고유부호를 휴대폰 메모장이나 에버노트 같은 메모 어플에 꼭 저장해놓고 다니는 편입니다. 단, 주의하셔야 할 것은 이 개인통관고유부호도 개인정보를 담고 있는 번호이기 때문에, 막 노출하시면 안 된다고 합니다.
이 개인통관고유부호가 없으면 해외에서 물건을 들여올 수 없습니다. 요즘 해외 물건을 구매할 때 볼 수 있는 결제 페이지에는 개인통관고유부호를 작성하지 않으면 결제도 할 수 없게 되어있는데요. 사실 선택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. 하지만 이렇게 되면 통관 대행사나 여러 업체에 주민등록번호를 노출하기 때문에, 가급적이면 간편한 개인통관고유부호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.
개인통관고유부호는 PC로도 발급받으실 수 있으며, 안드로이드나 IOS 앱을 통하여 모바일에서도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 원하시는 기기를 통해 발급받으셔서 잘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.
2022년 삼재띠와 주의사항들
벌써 2021년의 마지막 달인 12월에 들어섰습니다. 2019년부터 시작됐던 소띠와 뱀띠, 그리고 닭띠의 삼재가 2021년으로 끝나는데요. 저도 올해가 날삼재로, 삼재의 마지막 해를 보내고 있습니다. 내
pap2r.kr